[피싱사기] 핀테크·가상자산 사칭 범죄 확산 (2025-08-26)


-
- 첨부파일 : 핀테크사기.jpg (66.1K) - 다운로드
-
2회 연결
본문
🧾 관련 정보
- 사건 유형: 피싱 사기 (핀테크·가상자산 사칭)
- 주요 대상: 네이버페이, 토스, 뱅크샐러드, 다날, 코인원, KG모빌리언스 등
- 발표: 경찰청 전기통신금융사기 통합신고대응센터
📅 발생 일시
- 2025년 4월 ~ 7월 사이 다수 사례 발생
🧩 사건 개요
기존 은행·보험사 사칭 중심에서 최근 핀테크·가상자산 기업 사칭 피싱으로 급속히 전환됨.
범죄자들은 “개인정보 유출 보상”, “미납 대금 정산”, “리딩방 피해금 환급” 등을 명목으로 접근하며 문자·전화·앱 다운로드 등을 요구함.
💸 주요 피해 사례
- 4월: 코인원 사칭 → 개인정보 보상 빙자
- 4월: 뱅크샐러드 사칭 → 정보 갈취 시도
- 4월: 다날·KG모빌리언스 사칭 → 소액결제 미납 빙자 입금 요구
- 6월: 토스페이먼츠 사칭 → 리딩방 피해금 환급 빙자 개인정보 요구
- 6월: 네이버페이 사칭 → 코빗 연계 피해 환급 사칭
- 7월: 토스 사칭 → “민생회복지원금” 빙자 악성 앱 유포
🕵️ 수법 요약
1. 실존 기업 임직원 사칭 (팀장, 직원 등)
2. 허위 피해 보상/환급 제안
3. 문자·전화·앱 설치 통한 정보 갈취
4. 가상자산 거래소 연계 사칭으로 신뢰 유도
📎 참고 정보
- 경찰청, 2025년 4월부터 주요 피싱 사례 공개
- 최근 금융당국도 증권사 전자금융사고 및 랜섬웨어 공격 대응 강화
- 토스, 카카오뱅크, 신한은행 등 주요 핀테크 기업도 보안 강화 및 서비스 고도화 중
🚨 주의사항
- “환급·보상·지원금” 명목으로 접근 시 즉시 의심
- 출처 불명의 문자·앱 다운로드 금지
- 실제 기업은 전화나 문자로 개인정보·계좌 비밀번호를 요구하지 않음
댓글목록0